Communicating with Slip Boxes by Niklas Luhmann
Read on Omnivore
Read Original
Highlights
2. Possibility of linking ⤴️
Since all papers have fixed numbers, you can add as many references to them as you may want. Central concepts can have many links which show on which other contexts we can find materials relevant for them. ⤴️
- 메모 : 링크는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중심 개념은 수많은 노트와 연결될 수 있다.
Given this technique, it is less important where we place a new note. If there are several possibilities, we can solve the problem as we wish and just record the connection by a link [or reference]. ⤴️
- 메모 : 연결이 잘 정리돼 있다면 노트를 어디에 배치할지는 중요하지 않다. 다양한 가능성이 았다면 연결을 기록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we must give up the idea in preparing a card index that there should be privileged places or slips that have a special quality of guaranteeing knowledge. ⤴️
- 메모 : 특정 카드가 다른 카드보다 더 큰 지식 가치를 가질 거라는 선입견을 가지지 않고 인덱스 카드를 작성해야 한다.
The slip box needs a number of years in order to reach critical mass. Until then, it functions as a mere container from which we can retrieve what we put in. ⤴️
- 메모 : 노트의 양이 특정한 양에 이르기 전까진 그저 우리가 추가한 노트의 수만큼만 가치를 가진다.
- 실제로 작동하기까지 몇년이 걸릴 수 있다.
Every new entry can of course become isolated, like with the key word “Picasso” for the Picasso exhibition. If, however, we seek communication with the slip box, we must seek internal possibilities for linkings which result in the unexpected (i.e. information). ⤴️
- 메모 : 진입점 (인덱스 카드)는 피카소 전시회를 예로 들면 피카소라는 단어가 올 수도 있으나 메모상자와 대화를 통해 내부 연결의 가능성을 탐색해봐야 한다.
Usually it is more fruitful to look for formulations of problems that relate heterogeneous things with each other. ⤴️
- 메모 : 다른 종류(heterogeneous)의 노트간 연결을 보는 게 보다 풍성한 결과(fruitful)를 만들 수 있다.
Niklas Luhmann ⤴️
An Empirical Account ⤴️
It is impossible to think without writing; ⤴️
Somehow we must mark differences, and capture distinctions which are either implicitly or explicitly contained in concepts. ⤴️
we can choose the route of an open organization. ⤴️
We should only write on one side of these papers so that in searching through them, we do not have to take out a paper in order to read it. ⤴️
it is most important that we decide against the systematic ordering in accordance with topics and sub-topics and choose instead a firm fixed place ⤴️
- 메모 : 메모의 순서는 정신적 역사의 배열이고, 주제와 하위주제에 맞게 구조적인 순서로 배열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경직적인 구조의 순서대로 하는 것보다)
- 니클라스루만의 제텔카스텐에서 분기(branching)이 일어나는 이유는 하위주제의 생성 및 발전 과정을 추적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디지털에선 날짜로 가능한가? 사이에 끼어드는 메모들은 분기의 연대기를 파악하기 힘들게 만든다.
A system based on content, like the outline of a book) would mean that we make a decision that would bind us to a certain order for decades in advance! ⤴️
- 메모 : 목차 같은 시스템으로 작업한다면 목차의 순서에 얽매여 작업하게 된다.
In order to counteract this tendency, I recommend taking normal paper and not card stock. ⤴️
This decision about structure is that reduction of the complexity of possible arrangements, which makes possible the creation of high complexity in the card file and thus makes possible its ability to communicate in the first place. ⤴️
- 메모 : 고유 번호를 지정하는 까닭은 연결 가능한 배열의 복잡성을 줄이는 것이 목적이다.
A slip with number 57/12 can then be continued with 57/13, etc. At the same time it can be supplemented at a certain word or thought by 57/12a or 57/12b, etc. ⤴️
- 메모 : 57/12에 57/12가 추가될 수 있고, 여기서 57/12a, 57/12b로 파생되어 이어질 수 있다.
- 앞의 내용이 그대로 이어지면 숫자가 늘어나고, 분기되면 a,b를 추가하면서 분기한다. (2024-11-13)
- 슬래시는 왜 들어가는 것인가?
Fixed numbers, abstracted from any content-based order relying on the entire structure ⤴️
- 메모 : 고정된 번호, 내용 기반의 구조의 이점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originally continuous text is often broken up by hundreds of intermediate slips. But if we systematically number the papers, we can find the original textual whole easily. ⤴️
- 메모 : 넘버링은 앞뒤 메모의 연결이 끊기는 경우에 관계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이렇다면 디지털에서도 넘버링은 필요한 요소인가? 인덴트나 연결로 해결 가능한가?
- 현실적인 해결책은 옵시디언의 인덴트를 활용하는 일, 주제가 분기될 때 한칸 넣어주는 일이다. 그렇지만 분기가 지속됨에 따라 시각적 피로도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 2024-07-13
- 이렇다면 디지털에서도 넘버링은 필요한 요소인가? 인덴트나 연결로 해결 가능한가?
1. The possibility of arbitrary internal branching. ⤴️
Often the context in which we are working suggests a multiplicity of links to other notes. This is especially the case when the card index is already voluminous. In such cases it is important to capture the connections radially, as it were, but at the same time also by right away recording back links in the slips that are being linked to. ⤴️
- 메모 : 연결이 늘어날수록 만들어질 수 있는 맥락이 늘어난다. 이를 통해 연결 가능한 맥락의 수가 늘어나며 방사형(radially) 구조가 된다.
Therefore we need a register of keywords that we constantly update. The [fixed] numbers of the particular slips is also indispensable for the register. ⤴️
- 메모 : 나중에 노트가 늘어나면 넘버링만으로는 관리가 어려워 키워드 관련된 노트 모음을 만든다. MOC 나 index card로 부른다.
- 이 지점이 Mental Squeeze Point와 일맥상통하다. / 2024-07-13
3. Register. Considering the absence of a systematic order, we must regulate the process of rediscovery of notes, for we cannot rely on our memory of numbers. ⤴️
It proves to be similar to our own memory in that it does not have a thoroughly constructed order of its entirety, not hierarchy, and most certainly no linear structure like a book. Just because of this, it gets its own life, independent of its author. ⤴️
- 메모 : 우리의 기억와 유사한 구조를 만드는 과정이다. 기억은 전체적이며 위계가 없고 선형적 구조가 없다. / 2024-07-13
As a result of extensive work with this technique a kind of secondary memory will arise, an alter ego with who we can constantly communicate. ⤴️
- 메모 : 메모상자는 지속적으로 대화할 두번째 뇌(세컨드 브레인)를 만드는 것이다.
Some things will get lost (versickern), some notes we will never see again. On the other hand, there will be preferred centers, formation of lumps and regions with which we will work more often than with others. There will be complexes of ideas that are conceived at large, but which will never be completed; there will be incidental ideas which started as links from secondary passages and which are continuously enriched and expand so that they will tend increasingly to dominate system. ⤴️
- 메모 : 어떤 노트는 다시 찾지 않을 것이고, 어떤 노트는 계속해서 찾게 되고 노트 간 연결을 확장해나가면서, 그 아이디어의 확장이 시스템을 장악할 것이다.
Every note is only an element which receives its quality only from the network of links and back-links within the system. ⤴️
- 메모 : 각 노트는 요소일 뿐 각자가 어떤 가치나 흐름을 나타내진 않는다.
- 메모 : 메모 자체보다 메모가 갖고 있는 연결이 더 중요하다고 말하는 부분은 니클라스 루만 인터뷰 by Wolfgang Hagen 인터뷰에서도 확인됨 (2024-07-12)
Memory does not function as the sum of point by point accesses, but rather utilizes internal relationships and becomes fruitful only at this level of the reduction of its own complexity. ⤴️
The slip box provides combinatorial possibilities which were never planned, never preconceived, or conceived in this way. ⤴️
Theoretical publications do therefore not result from simply copying what can already be found in the slip box. The communication with the slip box becomes fruitful only at a high level of generalization, namely that of establishing communicative relations of relations. ⤴️
- 메모 : 학술 논문은 단순히 박스에 있는 것을 복사해서 생성할 수 없다. 소통(주고 받는) 관계의 관계(메타 관계)를 설정하는 상위 차원의 일반화 과정을 통할 때 메모상자(제텔카스텐)와의 대화는 보다 풍성해진다.
GPT (2023-07-15)
- 아티클에서 말하는 메모 상자(슬립 박스)와 대화한다는 것은 슬립 박스에 기록된 아이디어와 개념들을 자주 참고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발전시키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가리킵니다.
- 메모 상자를 검토하고, 기존 아이디어와 새로운 아이디어를 비교하여 연관성을 찾습니다. 이 과정에서 메모 상자 내의 아이디어들이 계속 진화하고 성장할 수 있게 됩니다. (메모 상자 검토하면서 연관성 찾기)
- 메모 상자의 아이디어와 자신의 현재 생각을 비교하여, 새로운 관점이나 인사이트를 발견합니다. 이를 통해 자신만의 독창적인 생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 비교 통해 새로운 관점이나 인사이트 발견)
- 메모 상자에 쌓인 아이디어들을 자주 회고하면서,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다시 한번 되돌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식이 더 깊게 체화되고, 새로운 연결 관계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자주 보면서 체화 시키고, 새로운 연결 관계 발견 가능)
결국, 슬립 박스와 대화하는 것은 메모 상자에 저장된 아이디어들을 적극 활용하고, 그것들과 자신의 생각을 지속적으로 연결시켜 나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식과 아이디어의 성장을 촉진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끌어낼 수 있습니다.